J Korean Biol Nurs Sci > Volume 19(4); 2017 > Article
Warning: DOMDocument::load(): Entity 'emsp' not defined in /home/virtual/jkbns/xmls/JKBNS-19-258.xml, line: 1050 in /home/virtual/jkbns/journal/journal/include.xml.php on line 13 Warning: DOMDocument::load(): Entity 'emsp' not defined in /home/virtual/jkbns/xmls/JKBNS-19-258.xml, line: 1057 in /home/virtual/jkbns/journal/journal/include.xml.php on line 13 Warning: DOMDocument::load(): Entity 'emsp' not defined in /home/virtual/jkbns/xmls/JKBNS-19-258.xml, line: 1050 in /home/virtual/jkbns/journal/journal/include.xml.php on line 17 Warning: DOMDocument::load(): Entity 'emsp' not defined in /home/virtual/jkbns/xmls/JKBNS-19-258.xml, line: 1057 in /home/virtual/jkbns/journal/journal/include.xml.php on line 17 임부의 운동현황과 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ercise patterns and the factors affecting exercise duration in pregnant women.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walking and exercise duration in 146 pregnant participants, who live in Gyeongsang area.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1 years, and more than 87% of them were primigravida. The differences in the mean walking duration, the daily exercise duration, and the exercise days of participants before and during pregnan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xercise duration during pregnancy was decreased compared to that before pregnancy. The factors affecting weekly exercise duration were diagnosi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concern about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monthly incom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teach proper exercise practices during pregnancy is recommended.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16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17명으로 세계 평균 2.5명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다[1]. 더욱이 최근 들어 여성들 사 이에서 비혼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결혼을 포함한 출산에 대하 여 여성이 손해 보는 것이라는 부정적인 영향이 만연화되어 있다. 이러한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함께 사회적, 경제적 요인으로 여성의 결혼 연령이 점차 늦어지고 있으며 이는 고연령 임신으로 이 어지고 있다[2]. 고연령 임신은 유산의 빈도가 높고 조기진통 또는 조산 등의 고위험 임신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임부의 불안도가 높 아 신체활동과 운동보다는 안정을 취하려는 경향이 크다[3].
그러나 임신 중 규칙적인 운동은 임부의 혈액순환을 돕고 몸의 유연성을 유지시키며 태아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임신성 당뇨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4]. 임신성 당뇨병 은 당뇨에 대한 과거력이 없는 상태에서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 하는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진단되는 것으로, 우리나라 임신성 당뇨병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난 9년간 5.8배가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산 후에도 제2형 당뇨병 발생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되는데,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지 않은 여성에 비해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이 7.4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5]. 또한 임신 성 당뇨병의 위험 인자는 제2형 당뇨병과 유사하지만 여성의 과체 중과 운동부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운동이 무 엇보다도 임신성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의 이환을 예방하기 위 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6].
운동(exercise)과 신체적 활동(physical activity)에 대한 용어는 보 편적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신체적 활동이란 골격근의 수축으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일어나는 움직임으로 정의되고 있으 며 운동은 체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시행되는 일련의 신체활동을 의미한다[7]. 미국 산부인과학회(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 and Gynecologists, ACOG)에 의하면 출혈이나 조기진통이 없는 임 부의 경우 하루 20분 이상, 적어도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운동이 필요함을 권고하고 있다[4]. 우리나라 임산부를 위한 운동가이드에 서도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운동이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임신 기 간 중의 적절한 양의 운동은 임신 중에 받는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 울증으로부터 벗어나 안정된 심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분만에 걸리는 시간과 분만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제시하 고 있다[8]. 특히,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대상으로 한 외국 연구에서 는 수영, 저강도의 에어로빅, 심장 귀환 혈액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형된 요가와 필라테스, 근력강화 운동 등 대상자에 맞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효과에 대하여 긍 정적임을 보고하고 있다[9].
반면에 현재까지 우리나라 임부를 대상으로 운동을 조사한 연 구는 산전교실을 중심으로 요가와 필라테스 중재 효과[10]가 소개 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임부의 운동현황을 조사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임부의 운동 실천율 또는 평균 운 동시간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연구결과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부를 대상으로 임신 전과 임신 기간 동안 의 운동현황을 파악하고 그들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함으로써 임부의 운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임부를 대상으로 대상자의 운동현황의 차이를 살펴 보고, 운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한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부의 일반적 특성 및 임신 전과 임신 기간 동안의 운동현 황을 파악한다.
둘째, 임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현황의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임부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임부를 대상으로 운동현황과 그들의 일주일 평균 운 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임부를 임의 표 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표본수는 G*Power version 3.1.2를 사용하 여 계산하였으며[11], 선형회귀분석 방법으로 효과크기(f2)=.08, 유 의수준(α) =.05, 검정력(1-β) =.95, 예측요인 10으로 하였을 때, 총 표 본수는 118명이 산출되었으나, 본 연구 참여 희망자를 포함한 총 14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3. 연구 도구

1)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 임신기간, 산과력, 임신성 당뇨병 유무, 당뇨병 가족력 유무, 임신 중 체중증가 정도, 임신 기간 동안 체중증가에 대한 염려 여부, 임신 기간 동안 시행한 운동의 종류, 흡 연과 음주 유무, 직업 유무, 교육수준, 월수입과 임신 전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그리고 지각하고 있는 건강상태를 조사하였 다. 체질량지수는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대한비만학 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12]에 따라 19 kg/m2 미만, 19-22.9 kg/m2, 23 kg/m2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지각하고 있는 건강상태는 현재의 건강상태를 주관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 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하고 있는 건강상태가 좋음을 의미한다.

2) 운동현황

임부의 운동현황은 국민건강영양조사[13]와 임산부 운동 가이드 라인[8]을 토대로 임신 전과 임신 기간 동안의 하루 평균 걷는 시간, 하루 평균 운동시간 및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로 작성하였다. 임부 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은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와 하루 평균 운 동시간을 곱하여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임신 기간에 따른 신체적 변화와 신체적 활동의 차이가 있음에 따라 임 신 기간을 임신 1기(임신 13주 이하), 임신 2기(임신 14주에서 28주), 임신 3기(임신 29주 이상)로 분류하여 임신 전과 임신 기간의 운동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는 2인의 여성전문병원 간호부장의 자문을 통해 수정, 보완되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 α= .91이었다.

4. 자료 수집

자료 수집은 경상도에 소재하고 있는 2개의 여성전문병원에 산전 진찰을 위하여 내원하는 임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 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5-6월이었으며, 모 두 146명이 참여하였고 수집된 모든 자료는 분석에 포함하였다.

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 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 차, 범위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변수인 운동현황은 평균과 표 준편차, 범위로, 임신 전과 임신 기간 동안의 운동현황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루 평균 걷는 시 간, 하루 평균 운동시간 및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Linear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통 계적 검정 시 유의수준은 p< .05로 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이 임부의 운동현황과 관련된 것으로 위험 성은 전혀 없지만 대상자가 취약층인 임부임에 따라 대상자를 보호 하기 위하여 최대한 노력하였다.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 내용과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자의 신분을 밝힌 동의서를 나누어주어 연구 참여를 허락한 자만을 연구 대상자에 포함시켰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연구목적 이외에는 절대 사용하지 않으며 개인의 신상에 관한 비밀 을 노출하지 않도록 익명으로 한다는 점과 대상자가 원하면 언제든 지 철회할 수 있음을 알렸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한 대학의 연 구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았다(1041078-201704-HRSB-06501).

연구 결과

1. 임부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만 30.96 ± 4.53세이었고, 임신 1기 16명 (11.0%), 임신 2기 64명(43.8%), 임신 3기 66명(45.2%)이었다. 초임부가 90명(61.6%)이었으며 현재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대상자는 3명 (2.1%)이었다.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19 kg/m2 미만이 10명(6.8%), 19- 22.9 kg/m2가 102명(70.0%), 23 kg/m2 이상이 34명(23.2%)이었으며, 임 신 기간 동안 체중의 변화는 5 kg 감소부터 28 kg 증가까지 범위가 컸고 임신 기간 동안 체중증가에 대하여 염려하고 있는 대상자는 63명(43.2%)이었다. 대상자가지각하고 있는 주관적 건강상태는 5점 기준으로 평균 2.34 ± 0.75점 이었으며 임신 기간 동안 시행한 운동 의 종류로는 걷기가 70명(47.9%)으로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46)
Categories Characteristics n (%) Mean±SD Range

Age (years) <35 115 (78.8) 30.96±4.53 21-42
≥35 31 (21.2)
Gestational age First trimester 16 (11.0) 27.52±9.45 10-40
Second trimester 64 (43.8)
Third trimester 66 (45.2)
Number of pregnancy First 90 (61.6)
Second 41 (28.1)
Third 15 (10.3)
GDM status No 143 (97.9)
Yes 3 (2.1)
Family history of DM No 126 (86.3)
Yes 20 (13.7)
BMI of pre-pregnancy (kg/m2) <19 10 (6.8) 21.46±2.93 14-32
19-23 102 (70.0)
>23 34 (23.2)
Weight change after pregnancy (kg) First trimester 0.93±2.50 -5-4
Second trimester 6.14±0.04 -3-16
Third trimester 12.15±5.00 -1-28
Mean 8.74±6.00 -5-28
Perceived health status First trimester 2.42±0.74 1-4
Second trimester 2.42±0.74 1-4
Third trimester 2.31±0.74 1-4
Mean 2.34±0.75 1-4
Smoking experience No 132 (90.4)
Yes 14 (9.6)
Drinking experience No 62 (42.5)
Yes 84 (57.5)
Concern about weight gain No 83 (56.8)
Yes 63 (43.2)
Occupation No 75 (51.4)
Yes 71 (48.6)
Educational level High school 30 (20.5)
College 104 (71.3)
More than university 12 (8.2)
Monthly income (won) <2,000,000 75 (51.4)
2,000,000-3,000,000 53 (36.3)
>3,000,000 18 (12.3)
Exercise type on pregnancy Walking 70 (47.9)
Yoga 29 (19.9)
Swimming 4 (2.7)
Not classified 43 (29.5)

GDM=Gestational diabetes melllitus; DM=Diabetes mellitus; BMI=Body mass index.

2. 임부의 임신 전과 임신 기간 운동현황

대상자의 임신 전과 임신 기간 동안의 하루 평균 걷는 시간, 하루 평균 운동시간 및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하루 평균 걷는 시간, 하루 평균 운동 시간 및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의 범위는 차이가 컸으며, 임신 전에 비하여 하루 평 균 걷는 시간과 하루 평균 운동시간은 임신 1기, 2기, 3기 대상자 모 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임신 1기 대상 자의 하루 평균 운동시간만이 유의성을 보였다(t=2.31, p =.028).
Table 2.
Exercise Status of the Participants (N=146)
Variables Pre-pregnancy
On pregnancy
t p
Mean±SD Range Mean±SD Range

First trimester Walking duration per day (minute) 63.24±80.24 10-600 27.78±19.60 10-60 1.81 .080
Exercise duration per day (minute) 36.05±38.76 0-120 20.00±30.23 0-120 2.31 .028*
Number of exercise per week (day) 1.64±1.89 0-7 1.26±1.98 0-7 0.99 .332
Second trimester Walking duration per day (minute) 72.54±123.83 10-600 38.00±41.74 10-180 1.84 .073
Exercise duration per day (minute) 200.37±108.44 0-720 26.15±39.43 0-180 1.08 .289
Number of exercise per week (day) 2.16±2.13 0-7 1.59±1.96 0-7 1.48 .146
Third trimester Walking duration per day (minute) 57.35±49.47 10-300 48.72±33.67 10-120 1.74 .085
Exercise duration per day (minute) 38.69±46.95 0-240 35.24±38.81 0-180 0.74 .459
Number of exercise per week (day) 2.09±2.24 0-7 2.19±2.18 0-7 -0.34 .783

* p<.05

3. 임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현황 차이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신 중 운동현황의 차이 는 Table 3과 같다. 고연령 임신을 기준으로 하는 35세 이상의 임부 보다 35세 미만 임부의 하루 평균 운동시간(t=2.72, p =.007)과 일주 일 평균 운동일수(t=2.60, p =.010)가 유의하게 많았다. 임신 1기, 2기, 3기에서의 하루 평균 운동시간(F =2.87, p =.006)과 일주일 평균 운 동일수(F=3.70, p =.027)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고, 임신성 당뇨 병 진단(t= -2.23, p =.027), 임신 중 체중증가에 대한 염려(t=1.50, p =.012) 그리고 월수입에 따라 하루 평균 운동시간(F=3.18, p =.026) 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임신 1기, 2기, 3기에서 증가된 몸무게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여 1 kg 이하, 2-12 kg 증가, 13 kg 이상 증가로 분 류한 대상자의 하루 평균 걷는 시간(F= 4.06, p =.019), 하루 평균 운 동시간(F=5.39, p =.006) 및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F= 4.49, p =.013) 모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대상자가 지각하고 있는 건강상태의 평균점수 2.34점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 과에 따른 운동현황에는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3.
Differences of Exercise Status by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46)
Characteristics Walking duration per day (minute)
Exercise duration per day (minute)
Number of exercise per week (days)
Mean±SD t/F (p) Mean±SD t/F (p) Mean±SD t/F (p)

Age (years) <35 46.53±34.11 1.41 (.160) 35.81±40.73 2.72 (.007*) 2.10±2.20 2.60 (.010*)
≥35 36.37±41.55 14.99±25.38 1.03±1.39
Gestational age First trimester 29.36±22.24 2.39 (.095) 10.30±21.62 2.87 (.006*) 0.74±1.45a 3.70 (.027*)
Second trimester 39.45±42.28 28.02±40.25 1.71±1.98a (a<b)
Third trimester 48.71±33.64 35.20±38.81 2.19±2.18b
Number of pregnancy First 45.29±37.91 2.21 (.113) 24.88±37.63 2.41 (.033*) 0.51±1.31 1.67 (.093)
Second 47.24±28.46 20.05±32.01 0.34±0.93
Third 46.02±45.23 47.06±47.71 0.73±1.91
GDM status No 43.65±34.24 -1.75 (.082) 30.28±36.90 -2.23 (.027*) 1.83±2.08 -0.69 (.494)
Yes 80.08±91.72 80.00±91.71 2.67±2.52
Family history of DM No 44.84±34.22 0.42 (.676) 31.83±38.91 0.41 (.686) 1.89±2.11 0.57 (.570)
Yes 41.26±46.15 28.04±38.31 1.60±1.96
BMI of pre-pregnancy (kg/m2) <19 6.67±11.51 1.17 (.183) 0.00±0.00 1.10 (.335) 0.00±0.00 1.77 (.174)
19-23 44.49±35.62 29.23±35.31 1.81±2.12
>23 45.65±34.43 31.71±34.32 2.33±2.28
Weight change after pregnancy (kg) ≤1 25.39±21.55a 4.06 (.019*) 11.24±21.81 5.39 (.006*) 0.72±1.80 4.49 (.013*)
2-12 41.64±34.39b (a<b) 24.91±32.35 1.74±1.99
≥13 53.71±38.63b 41.31±38.95 2.51±2.25
Perceived health status ≤2.34 45.34±36.41 0.47 (.637) 1.79±2.06 -0.43 (.667) 33.23±40.91 0.77 (.443)
>2.34 42.56±35.53 1.94±2.14 28.14±35.14
Smoking experience No 49.52±20.67 -0.92 (.378) 15.41±2.88 -1.13 (.279) 2.47±1.66 -1.38 (.192)
Yes 30.01±1.49 36.51±34.26 1.25±3.82
Drinking experience No 45.83±33.91 1.21 (.230) 33.54±38.22 0.42 (.678) 2.14±2.05 0.96 (.341)
Yes 75.04±21.24 45.01±63.64 3.50±4.95
Concern about weight gain No 43.02±35.31 0.48 (.635) 27.81±33.45 1.50 (.012*) 1.86±2.21 -0.11 (.909)
Yes 45.99±36.93 36.13±44.97 1.81±1.83
Occupation No 43.00±33.03 -0.39(.702) 36.75±41.62 -0.86 (.397) 1.73±1.81 -0.90 (.371)
Yes 39.15±32.11 24.50±37.51 1.18±1.47
Educational level High school 70.02±45.81 1.99 (.119) 60.02±60.02 0.76 (.517) 4.00±3.61 1.35 (.261)
College 53.34±44.38 25.41±34.12 2.11±2.41
More than university 43.00±34.22 31.83±40.62 1.74±2.02
Monthly income (won) <2,000,000 39.54±35.31 1.18 (.319) 22.34±31.15 3.18 (.026*) 1.59±2.09 0.78 (.507)
2,000,000-3,000,000 52.38±39.53 40.83±48.57 2.07±2.06
>3,000,000 50.01±31.85 44.09±39.21 1.90±1.76

* p<.05;

Scheffé test (means with the same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GDM=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M=Diabetes mellitus; BMI=Body mass index.

4. 임부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부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변수만 입력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참조변수(reference)는 35세 미만 연령, 임신 1기, 초임부, 임신성 당뇨병 진단을 받지 않음, 임신 기간 동안 체중증가 1 kg 이하, 임신 기간 동안 체중증가에 대한 염려 없 음, 월수입 200만원 미만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임 부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신성 당 뇨병 진단, 임신 중 체중증가에 대한 염려 및 월수입으로 나타났으 며 모델의 설명력은 39.3%이었다(F=3.16, p< .001) (Table 4).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n Exercise Duration (N=146)
Variables Exercise duration per week (minute)
B SE t p

(Constant) 125.23 218.54 0.57 <.001
GDM status (ref.=no GDM) 448.44 113.62 3.95 <.001
Concern about weight gain (ref.=no concern) 105.81 36.51 2.90 .005
Monthly income (won) (ref.= <2,000,000)
2,000,000-3,000,000 29.90 20.80 1.44 .015
>3,000,000 53.12 21.14 2.52 .013
F (p) 3.16 (<.001)
Adj. R2 .393

GDM=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ef.=Reference.

논 의

본 연구는 임부를 대상으로 운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하여 안내하고 있는 권고지침[4,8]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임부의 운동현 황을 조사하고 그들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임부의 평균 연령은 31세로 대상자 대다 수가 초임부임을 고려한다면, 첫 출산 연령이 평균 31.8세로 점차 평 균 출산 연령이 높아져 가는 우리나라의 현실[1]을 반영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평균 출산 연령의 상승은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병 등의 고위험 임신으로 이어지고 있으며[3] 이 중 임신성 당뇨 병의 경우는 다음 임신 시에도 임신성 당뇨병뿐만 아니라 출산 후 에도 제2형 당뇨병으로 이환될 확률이 매우 높다[14]. 본 연구에서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대상자는 2%에 불과하였으나 우리나라 임신성 당뇨병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난 9년간 5.8배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5].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성 당뇨병을 진 단받지 않은 여성에 비하여 출산 후에도 제2형 당뇨병 위험이 7.4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성의 과체중과 운동부족의 영향요인 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14].
본 연구에서 임신 전 과체중의 지표인 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 대상자는 23.2%이었으며. 대상자 70%가 임신 전 체질량지수 19-22.9 kg/m2을 나타냈다. 체질량지수는 비만도를 측정하는 데 보편적으 로 사용되는 지표로서 특히,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임부의 임신 기 간 동안 체중 증가의 적정성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15]. 과체중과 비만 기준을 제시하는 체질량지수는 국가와 관 련 단체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현재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대한비만학회에서는 23 kg/m2 이상의 체질량지수를 과체중 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성인에서 비만관련 질환 증가 가 25 kg/m2를 기점으로 1.5배에서 2배 증가하는 데 근거를 두고 있 다[12]. 이를 토대로 볼 때,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정상범위인 대상자 에게 규칙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고, 특히 과체중 대 상자에게는 임신 기간 동안 적합한 운동중재가 필요함을 유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연구 대상자인 임부의 임신 기간 동안 평균 체중 증가의 범위는 5 kg 감소부터 28 kg 증가까지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 는데, 체질량지수 23 kg/m2 미만 임부의 경우에서도 임신기간 동안 체중증가가 12kg 이상을 넘지 않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 으므로[15] 운동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운동은 체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시행하는 일련의 신체활동으 로서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오래전부터 처방되어 왔으며 심 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낮추고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7]. 따라서 산과적 합병증이 없는 임부의 경우 하 루 30분 정도 빠르게 걷기 등의 중등도 강도의 운동이 권고되고 있 으며 적어도 일주일을 기준으로 150분 이상 시행하는 것을 지침으 로 제시하고 있다[4,8]. 그러나 본 연구 대상자의 경우 임신 전 일주 일 평균 운동일수는 2일 이하였으며 임신 기간 동안 하루 평균 운동 시간 또한 임신 전보다 감소하여 평균 27분으로 나타나 임부의 운 동 기준 권고안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가 주 로 선호하는 운동 종류는 걷기가 가장 많았으나 운동의 효과 측면 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운동의 강도와 지속시간이라는 선행연구 결 과[16]에 비추어 볼 때 향후 임부의 걷기에 대한 효과 평가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또한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는 임부를 대상으로 운동의 이점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임신 주수에 따른 운동프 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포함한 골반저 근육 강화 운동 등의 효과 크 기에 대한 연구 결과[17,18]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의 연구 결 과들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의 임부 대상 운동 연구는 미비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임부를 대상으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 니라 대상자의 하루 평균 걷는 시간, 하루 평균 운동 시간 및 일주일 평균 운동 일수에 있어 임신 전과 임신 기간 동안 평균 시간 차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적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상자 개인에 따른 편차 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며 실질적으로 가임기 여성의 임신 전 운동시간 또한 부족하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는 질병관 리본부가 제시한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 조사결과[19]에서 우 리나라 여성의 규칙적인 운동 실천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 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운동현황은 연령, 임신 기수, 임신 성 당뇨병 진단, 산과력, 임신 기간 동안 체중증가와 체중증가에 대 한 염려 및 월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 령에 있어서는 35세 이상 고연령 대상자의 하루 평균 운동시간과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고령 임부일수록 임 신 기간 동안 활동적인 운동은 피해야하고 땀을 흘리는 운동은 임 부와 태아에게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연구결과[20]와 일맥상통하였 다. 또한 임부는 임신 기간 동안 운동의 이미지로 요가 체조, 스트레 칭, 발레 등을 떠올리며 안정적인 운동만을 생각한다고 제시되고 있는데[20], Colberg등 [21] 의 연구에서는 요가와 같은 경도의 운동 은 혈당과 지질을 낮추는 데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 였다. 임신 기수의 특성에 있어서는 임신 기수가 증가할수록 하루 평균 운동시간과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가 증가하였는데 유산이나 조산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도모하고 또 임신 3기에 출산을 준 비하는 임부의 보편적인 특성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 임신성 당 뇨병을 진단받은 임부가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지 않은 임부에 비 해 하루 평균 운동시간이 많았지만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는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 대상자 중 임신성 당뇨 병을 진단받은 대상자의 수가 적어 연구결과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임신 기간 동안 체중 증가가 클수록 하루 평균 걷는 시간, 하루 평균 운동시간 및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신 중 체중증가에 대한 염려를 하는 임부의 하루 평 균 운동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여성 의 체중조절 의지는 개인의 건강이나 신체에 대한 관심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신체 관심도가 높은 여성일수록 건강행위를 선택하 는데 긍정적이라고 제시한 선행연구결과[22]와 동일한 것이다. 그러 나 본 연구 대상자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임신 중 운동현황에 영 향을 주지 않았는데 이는 임신 전 과체중이 출산 후 여성의 체중조 절 의지와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23]와는 일치하지 않 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출산 후 여성은 임신 전 체중상태로 돌아 가려는 의지가 큰 반면에 임신 중 여성은 안전한 출산과정에 대한 기대가 크기 때문에 출산 후 여성과 임신 중 여성의 체중조절 중재 효과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 대상자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그들의 운동현황에 차이를 주지 않았을 가 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임부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고려되어야 하 겠지만 그보다 임신 전 과정동안의 운동이 필요하다는 인식 방향 전환이 필요하며 운동습관의 일상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주일 150분 이상 운동을 권고하는 임부 운동 지침[4,8]에 근거 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하루 평균 운동시간과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를 계산하여 대상자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을 산정한 후 이들의 운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분 석 결과, 임신성 당뇨병 진단, 체중증가에 대한 염려 그리고 경제적 요인이 임부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영향력은 39.3%이었다. 이 중 경제적 요인은 일반적으로 운 동에 미치는 주요한 영향요인일 뿐만 아니라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임부를 대상으로 하는 운동방법은 홈트레이 닝 동영상 프로그램과 병원에서 배부하는 책자 등에서 안내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임부의 참여도가 낮으며[8] 전문 운동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임부 요가, 임부 필라테스 및 임부 체조 등의 비용은 일 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피트니스 비용보다 높다[24]. 2007년 국민건 강보험공단의 임신, 출산 관련 의료이용행태 및 비용 분석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한 신문[25]에 의하면 임신과 출산에 필요한 평균 총 진료비는 185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17년 시점에서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다면 현재 임신과 출산 비용은 더 많이 요구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임부 대상 운동 습관의 형성을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비용적인 측면이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며 임부 의 접근 용이성 또한 숙고되어진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임부 대상으로 운동의 중요 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올바른 운동습관을 기를 수 있는 교 육의 필요성과 대상자들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고 비용대비 효율 적인 다양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 론

본 연구는 경상도 소재 여성전문병원에 내원한 임부를 대상으로 운동현황을 조사하고 그들의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였다. 대상자의 임신 전과 임신 기간 동안의 하루 평균 걷는 시간, 하루 평균 운동 시간 및 일주일 평균 운동일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임신 전에 비 하여 임신 기간 동안 운동시간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일주 일 평균 운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임신성 당뇨병 진단, 임신 기간 동안 체중증가에 대한 염려 및 월수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부를 대상으로 운동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과 중재 프로그램 의 적용 그리고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경상도 지역의 임부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결과 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나 임부의 운동현황과 운동시간 을 객관적인 자료로 제시하였다는 점과 임부 대상 운동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에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otal birth rate [Internet]. 2016. Daejeon: Statistics Korea; [updated 2017 Sep 27; cited 2017 Nov 0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207&vw_cd=MT_RTITLE&list_id=ZTIT_B&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A4#
2. Lee JK, Kim BH. The prospect and meaning among unmarried women in Korea: heterogeneity across educational attainment groups.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015;31(4):41-85.
3. Lee SY. Policy challenges for pregnancy after the age of 35 year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4;213:24-35.
4. Hesketh KR, Evenson KR. Prevalence of US pregnant women meeting 2015, ACOG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16;51(3):e87-e89. http://dx.doi.org/10.1016/j.amepre.2016.05.023
crossref pmid pmc
5. Ha KH, Kim DJ. Trends in the diabetes epidemic in Korea. Endocrinolology and Metabolism. 2015;30(2):142-146. http://dx.doi.org/10.3803/EnM.2015.30.2.142
crossref pmid pmc
6. Park JE. Nursing management in diabetes during pregnancy.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5;16(3):198-204. http://dx.doi.org/10.4093/jkd.2015.16.3.198
crossref
7. Kim KS, Park SW. Exercise and type 2 diabetes: ACSM and ADA joint position statement.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2;13(2):61-68. http://dx.doi.org/10.4093/jkd.2012.13.2.61
crossref
8. Seoul National University Health Quality Center. Exercise guideline for pregnant women [Internet]. 2015.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updated 2015 Dec 03; cited 2017 Nov 01]. Available from: http://hqcenter.snu.ac.kr/archives/jiphyunjeon/%ec%9e%84%ec%82%b0%eb%b6%80%eb%a5%bc-%ec%9c%84%ed%95%9c-%ec%9a%b4%eb%8f%99-%ea%b0%80%ec%9d%b4%eb%93%9c%eb%9d%bc%ec%9d%b8-2
9. Haakstad LAH, Bø K. Effect of a regular exercise programme on pelvic girdle and low back pain in previously inactive pregnant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5;47(3):229-234. http://dx.doi.org/10.2340/16501977-1906
crossref pmid
10. Ji ES, Cho KJ, Kwon HJ. Effects of yoga during pregnancy on weight gain, delivery experience and infant's birth weigh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2):121-129.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2.121
crossref
1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crossref pmid pdf
12.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Body Mass Index, BMI [Internet]. 2017.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updated; 2017 Jun 07; cited 2017 Nov 01]. Available from: http://www.kosso.or.kr/general/general/sub02.html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2016.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updated 2017 Jul 20; cited 2017 Nov 0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14. Choi MJ, Chung CW. Patterns of diagnosis and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in women with a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6;13(1):17-28. http://dx.doi.org/10.16952/pns.2016.13.1.17
crossref
15. Women's Health Nursing Study Community. Women's health nursing. 2016. 8th ed. Seoul: Soomoonsa; p. 116.
16. Bajpeyi S, Tanner CJ, Slentz CA, Duscha BD, McCartney JS, Hickner RC, et al.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and volume on persistence of insulin sensitivity during training cessatio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9;106(4):1079-1085. http://dx.doi.org/10.1152/japplphysiol.91262.2008
crossref pmid pmc
17. Bisson M, Almeras N, Dufresne SS, Robitaille J, Rheaume C, Bujold E, et al. 12-week exercise program for pregnant women with obesity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levels: an open randomised preliminary study. PLoS one. 2015;10(9):e0137742. http://doi.org/10.1371/journal.pone.0137742
crossref pmid pmc
18. Pelaez M, Gonzalez-Cerron S, Montejo R, Barakat R.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included in a pregnancy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in primary prevention of urinary incontinenc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2014;33(1):67-71. http://dx.doi.org/10.1002/nau.22381
crossref pmid
19. Lee ST. 1 out of 3 over weight women “I am skinny”. Korea Times [Internet] 2017 Oct 25 [cited 2017 Nov 01]. Available from: http://www.hankookilbo.com/v/282137dcb395453abd94061484e736d7
20. Yi IB, Lee CH.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maternity.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6;25(6):1405-1420.
21. Colberg SR, Sigal RJ, Fernhall B, Regensteiner JG, Blissmer BJ, Rubin RR, et al. Exercise and type 2 diabetes: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Joint position statement executive summary. Diabetes Care. 2010;33(12):2692-2696. http://dx.doi.org/10.2337/dc10-1548
pmid pmc
22. Yeo JH, Chun N. Factors influencing desired postnatal weight loss in women after birt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2):155-162. http://dx.doi.org/10.4069/kjwhn.2014.20.2.155
crossref
23. Shannon C, Chao M, Ramos DE. A gap analysis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ostpartum weight loss in obese new mothers. Obstetrics & Gynecology. 2015;125:56S. http://dx.doi.org/10.1097/01.AOG.0000463735.31802.14
24. Hwang NM.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public prenatal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syste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63:50-64.
25. Cho SM. The cost of prenatal screening test [Internet]. Women News 2009 Oct 23 [cited 2017 Nov 01]. Available from: http://www.womennews.co.kr/news/41824


ABOUT
ARTICLES AND ISSUES
EDITORIAL POLICI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Republic of Korea, 28644
Tel: +82-43-249-1797    Fax: +82-43-266-1710    E-mail: bionursing@naver.com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Developed in M2PI